우럭. 게티이미지뱅크 언젠가부터 횟집에서 우럭을 찾아보기 어렵다. 모둠회에도, 매운탕에도 우럭이 도통 보이지 않는다. 최근 가격이 무서울 정도로 가파르게 뛰어올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럭만 그런 게 아니다. 우럭과 함께 ‘국민 횟감’으로 꼽히는 광어 가격 역시 1년 전보다 10% 넘게 상승했다.우럭·광어 가격이 치솟은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해수 온도 상승 여파로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공급 자체가 감소한 게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현재와 같이 한반도 주변 수온이 계속해서 상승할 경우 그동안 우리가 즐겨 먹던 우럭과 광어는 앞으로 더욱 비싸지거나 아예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11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500~600g 우럭의 인천 활어도매시장 6월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41.8% 상승해 ㎏당 1만6125원에 거래됐다. 같은 기간 광어 도매가격은 ㎏당 1만9300원(900g~1.0㎏)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 올랐다. 한 상인이 지난 3일 오후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에서 뜰채로 국내산 광어 한 마리를 건져 올리고 있다. 권현구 기자 지난 3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에서 만난 횟집 ‘땅끝마을’의 차덕호 사장은 “우럭과 광어를 들여오는 경매가격이 10~15% 정도 뛰었다”며 “특히 우럭값이 조금 더 올랐는데, 광어보다 오래 못 살아서 제때 팔지 못하면 손해가 크다”고 설명했다.가게 메뉴판에 적힌 ‘국내산 광우(대광어·우럭)회’ 소자 가격은 6만원, 중자 8만원, 대자 10만원, 특자 12만원이었다. 차 사장은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않았다. 다들 돈이 없기 때문에 올릴 수가 없다”고 말하며 쓴웃음을 지었다. 직장인 전모(36)씨는 “횟집 몇 군데를 돌아봤는데, 몇 년 전보다 광어와 우럭 모둠회 가격이 많이 오른 것 같아 놀랐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우럭은 해상에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에서, 광어는 육상양식장에서 사육한다. 한대성 어종인 우럭은 수온이 20도 이하여야 양식하기 좋고, 온대성 어종인 광어는 21~25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우럭은 수온이 26도 이상 되면 움직임이 느려지고 폐사가 시작되며, 광어는 28도를 웃돌면 대량 폐사가 발생한다.문제는 한반도 앞바다가 끓어오르면서 우럭과 광어가 살기 점점 ‘어려운 곳 아 너무 덥다!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요즘입니다. 그렇다고 집에만 있자니 답답한 이 계절. ️ 댕댕이와 함께 더 똑똑하고 건강하게 여름을 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여름철 벌레 출몰 주의!!진드기와 러브버그 대처 방법진드기 진드기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아먹으며 생활하는 작은 거미류입니다. 크기가 매우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죠. 계절과 장소에 상관없이 번식하지만, 특히 여름철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진드기는 20~30°C의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여름철엔 개체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자연스럽게 산책 중 반려견의 털에 붙을 확률이 높아져요. 게티이미지뱅크 강아지 피부에 진드기가 붙어 피를 흡혈하면 감염성 피부병이 생길 수 있고, 물린 부위가 붉게 부어 오르거나 가려움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다행히 진드기는 떼어내기만 해도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제거 과정에서 진드기의 입 부분이 피부에 남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가정에서 무리하게 제거하기보다는 동물병원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외부 기생충 예방약을 꾸준히 사용하거나, 해충 방지 스프레이를 뿌리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매시 소재로 된 옷을 입혀 진드기를 예방하는 방법도 좋아요. 특히 치와와처럼 털이 짧은 단모종은 진드기에 더 취약하므로, 외출 후엔 몸 구석구석을 꼼꼼히 확인하고, 털을 잘 빗어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러브버그 요즘 사람들을 괴롭히는 벌레, 러브버그!짝을 지어 눈앞을 날아다니고 옷에 달라붙는 이 벌레를 보면, "오늘은 산책 포기!"라는 말이 절로 나오죠. 러브버그는 파리목 하루살이과에 속하는 계절성 곤충으로, 6월 말에서 7월 초중순 사이에 집중적으로 나타납니다.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짝짓기 상태로 비행하는 특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