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Z세대 사이에서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을 위해 욕실에 머무는 ‘화장실 캠핑’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사진=틱톡 캡처 미국 Z세대 사이에서,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을 위해 화장실에 머무는 행위인 ‘화장실 캠핑’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틱톡을 중심으로 집이나 학교, 회사 등의 화장실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담은 ‘화장실 캠핑’ 영상이 확산하고 있다. 단순히 볼일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외부 자극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을 얻기 위해 화장실을 찾는 것이다. 화장실 캠핑은 욕조에 누워 음악을 듣거나 명상하며 휴식을 취하는 방식으로도 이뤄진다. 일부는 담요와 인형까지 챙겨 들어가 욕실을 작은 피난처처럼 꾸미기도 한다.‘화장실 캠핑족’이라는 한 틱톡커는 “무언가로부터 지나치게 자극받을 때 화장실에 가서 기분 전환을 한다”고 말했다. 20년째 화장실 캠핑을 해왔다고 주장하는 또 다른 틱톡커는 “화장실에서 두어 시간 동안 삶에 대해 생각한다”며 “멘털 디톡스에 효과적이니 화장실에서 보내는 시간에 투자하라”고 말했다.이들은 혼자만의 시간이 보장된 화장실이라는 공간이 사회 불안이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한 화장실 캠핑족은 “밤에 공황 발작이 심하게 왔을 때 화장실이 내가 안전하다고 느낀 유일한 방이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이는 “부모님이 싸우고 아버지가 술에 취했을 때마다 욕실에 숨었다”고 했다.혼자 있는 시간은 실제로 감정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있다. 2022년 미국 델라웨어대 심리학과 연구에 따르면, 자발적으로 혼자 있는 시간은 감정의 진정과 정서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잠시 혼자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사회적 자극을 줄이고 자기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며 “특히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의 고립은 회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드리핑으로 해녀 그린 신민정 대상진실 찾으려 위험 감수한 7인 선정우현희 이사장 “치열한 사유 지원” 김상열 서울신문 회장과 우현희 호반문화재단 이사장이 10일 경기 과천 호반아트리움에서 열린 2025 전국청년작가 미술공모전(H-EAA) 시상식에서 수상 작가 등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민성 호반그룹 기획관리실장, 권여현 홍익대 교수, 우수상을 받은 나광호 작가, 김 회장, 우 이사장, 대상을 받은 신민정 작가, 김선규 호반그룹 회장, 김대헌 호반그룹 기획총괄사장, 김민형 호반그룹 커뮤니케이션실 상무. 뒷줄 왼쪽부터 유진상 계원예술대 교수, 이선영 평론가, 고은주·박상빈·남정근·윤일권·김기태 작가, 장성환 호반문화재단 감사, 김동진 호반문화재단 이사. 안주영 전문기자 “진정성을 담으면서도 조형적으로 새롭고 신선한 작품을 선보이도록 매진하겠습니다.”(신민정 작가)호반문화재단이 매년 청년 예술가들의 가능성을 응원하기 위해 진행하는 2025 전국청년작가 미술공모전(H-EAA)의 시상식이 10일 경기 과천 호반아트리움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는 대상을 받은 신민정 작가 등 수상자 7명을 비롯해 김상열 서울신문 회장, 우현희 호반문화재단 이사장, 김선규 호반그룹 회장, 조억헌 서울신문 부회장, 김성수 서울신문 사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올해 9회째를 맞은 H-EAA는 신진 작가 양성을 목표로 2017년 출범했다. 전시, 홍보, 전문가 매칭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까지 모두 69명을 지원했다. 공모전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특히 올해 839명의 지원자가 몰려 역대 최다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재단 측은 설명했다. 심사를 맡았던 권여현 홍익대 회화과 교수는 “심사 과정에서 클리셰(진부한 표현)가 많이 쓰인 작품은 배제했다”며 “보이지 않는 진실을 찾기 위해 위험을 감수한 흔적이 보이는 예술가들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올해 대상은 숙련된 드리핑 기법을 통해 제주 해녀의 강인한 삶과 지역적 서사를 생생하게 표현하며, 진정성 있는 연작을 선보인 신 작가에게 돌아갔다. 그는 “제주에 살면서 자연스럽게 해녀라는 소재가 와닿았고, 그들의 삶을 그리기 위해 곁에서 관찰하면서 시작된 작품”이라며 “사라져 가는 해녀의 모습과 제주도 풍경을 하나로 담을 방법을 고민하다가 드리핑 기법을 사용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런 뜻깊은 전시 기회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