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T 무단 소액결제' 사고에 활용된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0건 조회 1회 작성일 2025-10-18본문
부재중자동문자
[앵커] 'KT 무단 소액결제' 사고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아이디가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이에 따라 피해 규모도 소폭 늘었습니다. 여기에 무허가 기지국에 강제로 접속됐던 피해자도 더 나왔는데, 그 범위도 강원도 지역까지 확산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보도에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KT 통신망에 접속한 불법 기지국 아이디 개수가 4개에서 20개로 증가했습니다. KT가 조사 기간을 지난해 8월까지 10개월 정도 확대하면서 나온 결과입니다. [이세정/KT 디시전 인텔리전스 랩장 : "(이 결과는) 불법 펨토셀을 탐지하는 로직(논리)과 불법 결제를 탐지하는 로직(논리)을 단계적으로 정교화했다…."] 이에 따라 불법 아이디에 강제로 접속됐던 피해자 수는 2천2백여 명 늘었습니다. 앞서 강제 접속자들의 가입자 식별번호 등이 유출된 정황이 나온 만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이용자가 더 늘어난 셈입니다. 접속 범위는 기존 피해 지역을 넘어 강원도까지 확장됐습니다. 다만, KT는 '복제 폰' 생성 가능성에 대해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김영걸/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 상무 : "(복제 폰에 쓰일) 인증키가 유출되지는 않았습니다. 인증키는 안전하게 보관이 되고 있고요."] 소액 결제 피해자도 늘었는데, 문자메시지 인증과 패스(PASS) 인증 등으로 조사 범위를 넓힌 영향입니다. 추가 피해자는 6명, 피해액은 320만 원 정도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사건이 계획범죄인 정황도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첫 무단 소액결제는 8월 5일에 일어났지만, 불법 기지국 아이디에 이용자들이 처음 접속된 시점은 이보다 10개월 정도 빠릅니다. 피의자들이 1년 가까이 범행을 준비했다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KT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보완해 당국에 신고했으며, 추가로 확인된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치도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 [앵커] 'KT 무단 소액결제' 사고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아이디가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이에 따라 피해 규모도 소폭 늘었습니다. 여기에 무허가 기지국에 강제로 접속됐던 피해자도 더 나왔는데, 그 범위도 강원도 지역까지 확산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보도에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KT 통신망에 접속한 불법 기지국 아이디 개수가 4개에서 20개로 증가했습니다. KT가 조사 기간을 지난해 8월까지 10개월 정도 확대하면서 나온 결과입니다. [이세정/KT 디시전 인텔리전스 랩장 : "(이 결과는) 불법 펨토셀을 탐지하는 로직(논리)과 불법 결제를 탐지하는 로직(논리)을 단계적으로 정교화했다…."] 이에 따라 불법 아이디에 강제로 접속됐던 피해자 수는 2천2백여 명 늘었습니다. 앞서 강제 접속자들의 가입자 식별번호 등이 유출된 정황이 나온 만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이용자가 더 늘어난 셈입니다. 접속 범위는 기존 피해 지역을 넘어 강원도까지 확장됐습니다. 다만, KT는 '복제 폰' 생성 가능성에 대해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김영걸/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 상무 : "(복제 폰에 쓰일) 인증키가 유출되지는 않았습니다. 인증키는 안전하게 보관이 되고 있고요."] 소액 결제 피해자도 늘었는데, 문자메시지 인증과 패스(PASS) 인증 등으로 조사 범위를 넓힌 영향입니다. 추가 피해자는 6명, 피해액은 320만 원 정도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사건이 계획범죄인 정황도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첫 무단 소액결제는 8월 5일에 일어났지만, 불법 기지국 아이디에 이용자들이 처음 접속된 시점은 이보다 10개월 정도 빠릅니다. 피의자들이 1년 가까이 범행을 준비했다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KT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보완해 당국에 신고했으며, 추가로 확인된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치도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부재중자동문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