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0건 조회 10회 작성일 2025-06-26본문
강원도 인
강원도 인제군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탐방 지점인 1052고지에서 본 도솔지맥. 오른쪽부터 매봉~가칠봉~대우산~도솔산~대암산이 이어진다. 인천 강화군에서 경기도를 거쳐 강원도 고성군까지 비무장지대(DMZ) 접경지역 11개 코스 ‘평화의 길’ 524㎞가 열렸다. 이 가운데 강원도 인제군 테마노선은 가전리 습지, 36통문, 37통문, 을지하늘길, 1052고지(옛 1031고지) 등을 포함한다.인제 평화의 길 출발점은 서화면 서화리 ‘피스 빌리지’다. 서화면은 6·25 전쟁 전까지 이북에 속해 있었다. 인근에서 가장 큰 오일장이 열릴 정도로 번화했다. 옛 동네 주민 중에는 금강산에서 놀다 온 사람들도 꽤 많았다고 한다. 휴전 이후에는 접경지역으로서 발전에서 소외됐다. 전쟁의 폐허로 남은 땅은 ‘DMZ 평화의 길’이라는 이름으로 민간인의 발길을 허락했다.서화리는 내금강에서 발원한 인북천이 흘러내리고, 해금강을 거쳐 동해로 빠져나가는 남강이 발원하는 마을이다. 마을에서 민간인 통제구역으로 들어가 북쪽으로 가면 1052고지를 만난다. 북한에서 넘어온 백두대간이 남한에서 처음 만나는 봉우리다. 그 아래 백두대간과 군사분계선이 만나는 지점에 삼재령이라는 고개가 있다. 이 고개 서쪽은 내금강이고 동쪽은 외금강이다.인제 DMZ 평화의 길 테마구노선 전체 탐방거리는 왕복 46㎞다. 45㎞는 차량으로 이동하고, 두 발로 걷는 구간은 1㎞다. 마을 주민들이 주축이 돼 직접 안내하고 진행한다. 마을이 운영하는 승합차를 타고 대곡리 초소를 지나 굽이굽이 길을 따라가다 보면 고성재 인근을 지난다. 고성재에서 시작한 물줄기는 북으로 흐르다가 금강산에서 내려오는 남강을 만나 외금강을 거쳐 동해로 빠진다. ‘을지삼거리’에 있는 을지로 표지석. 출발한 지 50여 분 만에 남방한계선 바로 앞 ‘을지삼거리’에 닿는다. 을지부대 이름에서 따서 붙인 ‘을지로’에 있다. 이곳에서 왔던 길을 되돌아 1㎞ 구간을 도보로 이동한다. 이후 다시 차를 타고 1052고지에 오른다. 고지의 이름은 해발고도 1052m에서 따왔다.이곳에서 DMZ, 북한의 무산(1319m), 무산 주변 미수복지역인 이포리와 장승리, 금강산 등을 볼 수 있다.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국 ‘2024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동물 관리 전반에투입되는 세금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GETTYIMAGES 최근 정부가 '2024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동물등록과 유기동물, 반려동물 관련 영업 현황 등 다양한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소개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동물 관리 전반에 투입되는 세금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우려됩니다. 관련 세금 매년 20% 이상씩 증가우선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되는 세금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한국에서 발생한 유기동물은 총 10만6824마리입니다(유실동물 포함). 전년 대비 5.5%(6248마리) 줄어든 수치입니다. 유기동물 발생 수는 최근 5년 연속 감소세입니다. 2019년에 역대 최대치인 13만5791마리를 기록한 뒤 2020년 13만401마리, 2021년 11만8273마리, 2022년 11만3440마리, 2023년 11만3072마리로 계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10만6000마리대까지 떨어진 겁니다. 연간 유실·유기동물 수가 11만 마리를 하회한 건 2017년 이후 7년 만입니다. 그런데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되는 세금은 매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된 세금(전국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전년 대비 24.2%(90억3000만 원) 증가한 464억2000만 원입니다(표 참조). 2022년에는 약 294억8000만 원, 2023년에는 약 373억9000만 원으로 연간 증가율이 26.8%에 달합니다. 유기동물 수는 줄어드는데 투입되는 세금은 매년 20% 이상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동물보호센터의 열악한 시설을 개선하고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 센터가 늘어난 점이 작용했습니다. 유기동물 입양률이 줄고, 안락사(인도적 처리) 또는 자연사되는 비율이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참고로 지난해 발생한 유기동물 중 27.5%는 보호소 안에서 자연사했고 18.5%는 안락사됐습니다. 자연사+안락사 비율은 2023년 45.6%에서 지난해 46.0%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유기동물 입양률은 2021년 32.1%에서 2022년 27.5%, 2023년 24.2%
강원도 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