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아동복부터 여름 여성 의류, 남성 정장까지 온갖
겨울 아동복부터 여름 여성 의류, 남성 정장까지 온갖 헌옷으로 가득찬 컨베이어벨트가 쉴새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컨베이어벨트에 올려진 옷 뭉치들이 향하는 곳은 파쇄기였다. 헌옷들은 파쇄기로 들어가기 직전 옷으로서 수명이 끝난 것이 아쉬운 듯 ‘타닥타닥’ 요란한 소리를 냈다. 폐의류 수거 업체 관계자는 “재활용에 방해가 되는 단추나 지퍼 등이 자동으로 떨어져 나가는 소리”라고 말했다.지난 20일 찾은 충북 진천의 한 의류 재활용 공장. 아파트 단지에 있는 의료수거함 등에서 수거된 헌옷들이 건축 자재로 다시 태어나는 현장이다. 지난 20일 충북 진천의 한 의류 재활용 공장에서 파쇄와 압축 공정을 거친 천 조각들이 기계 밖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파쇄기를 나와 잘게 찢긴 천 조각들은 곧바로 원통형 롤러로 짓눌렸다. 파쇄와 압축 공정을 거친 천 조각들은 보슬보슬한 솜이불 모양으로 가공됐다. 여기까지가 1차 공정이다. 이어 프레스기로 옮겨져 고온으로 찍어 눌렀다가 냉각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자 단단한 널빤지 형태의 건축 패널로 바뀌어 차곡차곡 쌓였다.이렇게 한 공정을 마치자 공장 관계자가 공장 한켠으로 안내했다. 폐의류 건축 자재로 만든 견본 주택이었다. 공장은 헌옷이 건물의 일부가 되는 ‘폐의류 재활용 사이클’을 상징하는 공간이기도 했다.전 세계에서 버려지는 연간 1억t의 폐의류 재활용률은 1% 수준에 불과하다.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돼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재활용된 것으로 통계에 잡히는 옷 중 일부는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돼 소각·매립으로 귀결된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최대 10%가 의류산업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한국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전국 폐기물 발생량 통계에 따르면 2023년 폐의류 발생량은 11만938t으로 4년 전인 2019년(5만9000t)보다 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내에서 발생한 폐의류 61.7%는 소각, 14.3%는 매립된다(2022년 기준). 재활용률은 22.3%에 불과하다. 이조차도 인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파키스탄 등으로 수출되는 중고 의류가 포함된 수치다. 이들 국가에서 중고 의류가 소비된 뒤 대부분 소각 혹은 매립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진 27일 인천 중구 역무선부두 4잔교 건강옹진호 앞에서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다. 장민재 기자 “배 안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니…, 앞으로는 서해5도 주민들의 의료사각지대가 많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7일 오전 10시께 인천 중구 역무선부두 4잔교. 인천시의 새 병원선 ‘건강옹진호’가 바다를 가르며 힘차게 출항한다. 270t급 규모의 배 안에는 하나의 종합병원이 마련돼있다. 접수대 옆으로 환자들이 진료를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이 차려져 있고, 복도 양쪽으로는 내과·치과·한의과·물리치료실 등이 나란히 배치해있다. 이날부터 ‘건강옹진호’는 본격적인 정기 진료에 나선다. 각각의 진료실 안에는 스케일링 기기와 멸균기, 좌식 침상 및 온열 치료 장비, 전자자극기 등이 가지런하게 정돈되어있다. 특히 2층에 있는 방사선실에는 골밀도 검사 장비 등을 두어 기본적인 건강검진이 가능토록 했다. 김현주 임상병리사는 “이제는 배 안에서 바로 검사하고, 바로 결과를 알려줄 수 있어 진료가 훨씬 신속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육지에서 처방하는 약들도 병원선에서 처방할 수 있어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26일 공식 출항에 나선 건강옹진호 실내. 위 왼쪽부터 접수실, 내과 진료실 , 방사선 진료실. 아래 왼쪽부터 물리치료실, 한의과 진료실, 치과 진료실. 장민재 기자 바다 위의 종합병원이라 불리는 ‘건강옹진호’가 닻을 올렸다. 시는 이날 ‘건강옹진호’의 공식 취항을 알리는 기념행사를 열었다. 행사에는 유정복 인천시장과 문경복 옹진군수, 신영희 인천시의원, 지역주민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건강옹진호’는 126억원을 들여 만든 전장 47.2m, 270t급 규모의 병원선이다. 시속 46㎞(25노트)로, 44명 정원의 승선 공간을 갖췄다. 종전 병원선 ‘인천531호(108t)’보다 2.5배 크고, 진료 범위와 장비도 대폭 확장했다. 배 안에 내과·치과·한의과·물리치료실·방사선실·임상병리실·보건교육실 등의 진료 기능을 갖췄으
겨울 아동복부터 여름 여성 의류, 남성 정장까지 온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