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닷컴
알리바바닷컴 [알리바바닷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 플랫폼 알리바바닷컴이 한국 중소기업을 위한 안전거래 서비스인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를 도입한다고 7일 밝혔다.이 서비스는 알리바바닷컴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거래 보호 서비스로 거래 전 과정에서 셀러(판매자)와 바이어(구매자) 모두에게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알리바바닷컴은 에스크로 기반의 안전한 결제 시스템을 통해 해외 구매자와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해소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스크로는 결제 대금을 제3자가 예치하고 있다가 거래가 완료된 후에 지급하는 거래 안전장치다.또 결제부터 배송까지 거래 전 과정을 플랫폼 내에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물류와 금융 기능도 통합 제공한다.이를 통해 판매자는 안정적인 대금 회수와 향상된 거래 안정성을 누릴 수 있다고 알리바바닷컴은 설명했다.알리바바닷컴 관계자는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는 판매자가 보다 효율적이고 간소화된 무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판매자가 평판이 낮은 구매자를 사전에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 거래 초기 단계부터 리스크(위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선양 알리바바닷컴 글로벌 사업개발 총괄 본부장 [알리바바닷컴 제공. 재팜내 및 DB 금지]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를 통한 거래 이력이 축적될수록 판매자의 알리바바닷컴 내 검색 순위와 노출도가 높아진다.이는 구매자에게 신뢰도 높은 파트너로 인식돼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 선순환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알리바바닷컴은 기대한다.실제 속눈썹 연장 및 반영구 화장 제품 기업 미플러스코리아는 2017년 알리바바닷컴에 입점한 후 트레이드 어슈어런스를 적극 활용해 해외 주문을 확대하고 있다.채수연 미플러스코리아 대표는 "과거 외부 오프라인 결제 방식에 대한 보안 우려로 구매를 망설이는 고객이 많았으나 패권./문학동네 인공지능(AI) 업계에 혜성처럼 등장한 두 인물이 있다. 챗GPT를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과 구글 딥마인드의 설립자이자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데미스 허사비스는 인류의 미래를 바꾼 AI의 빠른 발전을 앞당겼다. 지난 1월, 중국의 스타트업 기업이 발표한 ‘딥시크’는 AI 업계를 넘어 전 세계를 뒤흔들었다. 딥시크의 성과에 긴장한 미국은 정부 차원의 AI 개발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를 출범시켰다. 나날이 급변하는 AI 경쟁 시대, 과연 누가 패권을 잡을 것인가.월스트리트저널 기자 출신의 기술 분야 칼럼니스트인 저자는 신간 ‘패권’에서 급변하는 AI 시대에서 누가 패권을 잡을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13년간의 자료 조사와 업계 관계자들과의 인터뷰 등을 거쳐 AI 시대의 향방을 예측한다.책은 AI 업계 두 거인인 샘 올트먼과 데미스 허사비스라는 인물의 대립 서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과정에 필연적으로 잇따르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변곡점 또한 입체적으로 살펴본다.책은 이 둘의 기술 개발 과정이나 투자 유치 및 경영 전략을 보여주는 데만 그치지 않고, 기업의 구조, 의사결정의 과정, 투자자와 경영진의 갈등, 제품 출시 시기 등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기업 논리 아래서 AI 기술이 어떻게 거대 빅테크 기업들의 경영 도구로 변화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책은 이 둘의 이야기를 비롯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래리 페이지 구글 공동 창업자 등 다양한 실리콘밸리 창업가 이야기를 녹여낸다.이 책에서 저자는 단순히 AI 기술의 탁월함과 업계 상황을 실감 나게 조명하는 데서 멈추지 않는다. 그보다는 AI 개발 과정의 실패에서 찾은 성공의 실마리, 기존 수익체계에 함몰돼 내부의 창의적인 실험을 외면하다 된서리를 맞는 기업의 경직성 등 인간사에서 벌어질 수 있는 상승과 몰락의 이야기 등을 심도있게 담아냈다.혁신에는 대가가 따르기 마련이다. 빅테크 기업을 등에 업은 AI 업계는 AI 훈련을 위해 막대한 양의 인터넷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면서도,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는지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례로 오픈AI는 GPT 모델을 훈련시키는 데 다양한 공공 데이터를 사용하면서 그 학습 데이터의 범위나 출처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점점 더 데이터 검증이나 사회적 감시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투명성을 잃은 AI 기술
알리바바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