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열 기자]▲ 문제의 본질은 AI가 아니다.ⓒ emilianovittoriosi on Unsplash 최근 AI 활용 흔적이 있는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에 대한 비판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문제의 본질은 AI가 아니다. 교사의 생기부 포장 노동 현실, 그리고 변별을 우선하는 입시 구조 속에서 왜 교사가 있는 그대로 쓰기 어렵게 되었는지 묻는 것이 먼저다. 세특의 작성 수준과 분량, 기타 특성은 챗GPT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학교 여건, 교사의 교육철학과 과목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떤 교사는 학생 활동에 구체적 설명을 덧붙이는가 하면, 어떤 교사는 핵심 위주로 간결하게 정리하기도 한다. AI의 등장은 이 논쟁을 갑자기 촉발시킨 원인이 아니라, 기존 문제를 다시 드러나게 만든 계기에 불과하다.세특 자체가 이미 왜곡된 입시 제도 속에서 학생의 성장과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과대포장의 성격을 갖게 된 상황에서, AI를 쓰든 쓰지 않든 완성된 장면만 모아 보기 좋게 전시해야 하는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AI가 쓴 문장 같다는 이유만으로 교사의 수업과 평가 결과 자체를 부정하는 것 역시 논리적으로도, 교육적으로도 설득력이 없다. 중요한 것은 세특을 작성하는 데 활용한 도구가 무엇이었느냐가 아니라, 그 기록이 학생의 실제 활동과 성장을 정직하게 담고 있느냐는 점이다.학교 현장에서는 세특 작성을 위한 정성평가의 부담이 이미 임계점에 도달한 지 오래다. 정성평가는 학생을 깊이 관찰하고, 활동을 기록하고, 다시 글로 풀어내는 고된 지적 노동의 연속이다. 그러나 수업시수는 줄지 않고, 기록해야 할 과목과 항목은 늘어나며, 민원과 매뉴얼의 압박도 커지고 있다.자신이 가르치는 과목은 내신 관리에 필요 없다며, 정시를 준비한다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학생들에게도 세특 작성은 교육부의 지침을 근거로 강요되고 있다. 교사들은 평가 내용을 왜곡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AI를 쓰는 게 아니다. 살아남고 최소한의 숨 쉴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효율을 추구할 뿐이다.한편에서는 교육부와 시도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가 18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의 경영 토크쇼에서 대화를 주고 받고 있다. (사진제공 = 대한상의) (경주=뉴스1) 박기호 기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8일 제조 인공지능(AI)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가장 큰 위협은 중국이라면서 일본과 손을 잡고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최 회장은 이날 오전 경주 라한셀렉트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에서 '모두의 AI, 우리의 AI' 주제로 열린 AI 토크쇼에서 "중국보다 우수해야 저희 제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최 회장은 "데이터의 중요도는 엄청나다. 건강한 AI를 만들기 위해선 좋은 영양이 있는 밥(데이터)을 먹어야 하는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한 곳"이라고 강조했다.이어 "문제는 경쟁인데 중국은 데이터가 저희보다 더 많다"면서 "그들의 학습 능력이 빨라지고 크다면 저희 제조업은 더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최 회장은 "일본도 상당히 많은 제조 AI 데이터를 갖고 있어서 서로 교환하고 학습시키면 훨씬 더 좋은 AI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최 회장 역시 AI를 업무 중에 활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 회장은 "제가 아는 지식을 확인하는 것도 있고 스피치를 써보라고 하면 제가 생각하지 못한 것을 (AI가) 주기에 많이 이용한다"고 전했다.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저 역시 회사에서 다양한 고민을 할 때 AI를 통해 리서치하고 복잡한 내용을 시키고 정리해서 활용하고 있다"며 "AI가 동료로서 자리를 잡는 느낌이 있을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메타가 데이터 처리 스타트업에 대규모 투자를 한 사례를 언급하며 "데이터가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이자 자원임을 다시 한번 증명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최 회장은 또 AI 디자인 하우스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 회장은 'AI 디자인 하우스'에 대해 스케일을 크게 키우거나 세밀하게 접근하는 방법론 등을 시도하고 업종별 특성에 맞게 활용할지를 시도하는 싱크탱크와 같은 형태라고 설명했다.또한 "우리나라에서 AI를 발전시키려면 최소한 10만 명 이상의 AI 엔지니어가 필요하고 미래에는 100만 명, 1000만 명이 필요할 것"이라며 "AI의 씨를 뿌리는 농사를 계속 지어야 인재가 마련되는 것이기에 계속해서 길러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동시에 "(인재를) 기르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