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방문 중인 젠슨 황 미국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
중국을 방문 중인 젠슨 황 미국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규제로 수출이 금지됐던 'H20 칩' 판매 재개와 관련해 "더 고급 칩을 중국에 공급할 수 있길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베이징=AP/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6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 국제 공급망 촉진 박람회(CISCE) 개막식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2025.07.16. /사진=민경찬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젠슨 황은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개막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 H20도 여전히 놀랍도록 좋지만 앞으로 몇 년 내로 중국에 판매가 허용되는 어떤 것이든 우리는 판매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젠슨 황은 수출 허가 배경에 대해선 "H20이 희토류 협상의 일부라는 얘기를 봤는데 미·중 협상에 대한 비밀 정보를 알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중국 방문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났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H20 칩의 대중국 판매 재개가 희토류 협상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트럼프 대통령과 젠슨 황이 나눈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H20 수출 규제 완화가 주요 의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 기업이 인공지능(AI)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전세계에 기술을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젠슨 황은 지난 15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직접 미국 정부가 H20 칩의 중국 판매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그의 설득이 정책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젠슨 황은 "현재 미국 정부가 중국 고객들의 주문에 대한 수출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아직 고객을 만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은 앞다퉈 H20 칩 구매에 나서고 있다. 바이트댄스와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관련 신청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엔비디아가 구매희망자의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어 미국 정부에 송부한 뒤 최종 승인을 받는 절차다.H20 칩은 엔비디아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를 준수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한 제품이다. 최신 고성능 AI 칩인 H100이나 H200 등은 중국 수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각) 미국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에 있는 카네기멜런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린 제1회 펜실베이니아 에너지·혁신 정상회의에서 웃고 있다. 피츠버그/UPI 연합뉴스 미국이 관세협상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를 위한 펀드 조성을 우리 정부에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투자펀드 조성은 일본 정부가 관세협상 과정에서 미국 쪽에 제시한 방안이기도 하다. 정부는 미국의 이런 요구에 난감해하면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요구한 국방비 증액은 가용한 협상 카드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16일 정부 관계자들 설명을 종합하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최근 워싱턴에서 진행된 협상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확대를 위한 펀드 조성을 요구했다. 한국 쪽이 돈을 대 한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 제조업 투자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이 일본 정부와 협의 중인 투자펀드 형태와 유사하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제안한 3천억달러(약 416조원) 규모의 펀드가 미-일 간에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정부는 난감해하는 분위기다. 펀드 조성을 위한 거액의 재원 조달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정부가 국내 제조업과 경쟁 관계에 놓일 수 있는 미국 내 제조업에 직접 투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무리한 카드를 내미는 미국이 정작 우리 정부의 요구안을 수용하는 데는 매우 인색하다는 점도 논란을 키우는 대목이다. 특히 한국의 최대 대미 수출품인 자동차에 대해 미국은 25% 품목관세를 고수하고 있다.관세협상 과정에서 통상·투자 분야와 패키지로 묶여 있는 안보 분야 협상에선 정부가 ‘나토식 국방비 5% 확보’ 쪽으로 협상 카드를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방위비분담금 인상보다는 나토식 국방비 증액 카드가 현실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앞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은 지난 6월25일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증액하는 방안에 미국과 합의했다. 양쪽이 합의한 국방비 인상분은 병력과 무기체계 운용에 들어가는 직접 군사비(3.5%)에 사
중국을 방문 중인 젠슨 황 미국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